...
EC2 인스턴스 라이프 사이클
Amazon EC2 인스턴스는 시작한 순간부터 종료될 때까지 다양한 상태로 전환된다.
EC2의 수명 주기라 함은 AMI로부터 실행이 되고나서 종료될 때까지 EC2가 거치는 과정을 말한다.
다음 그림은 인스턴스 상태 간 전환을 나타내고 있다.
각 사이클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
EC2 사이클 상태
1) pending state
제일 처음 AMI가 실행이 되면 준비상태를 말한다.
EC2를 가동하기 위해서 가상머신, ENI, EBS 등이 준비되는 과정이다.
2) running state
실제로 EC2를 사용할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running 상태에서 할수 있는 것 3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중지
- 인스턴스를 잠깐 멈춰두는 것
- 중지 중에는 인스턴트 요금 미청구
- 단 EBS 요금, 다른 구성요소(Elastic IP 등)은 청구
- 중지 후 재시작 할때 퍼블릭 IP가 변경 됨 (프라이빗IP는 변경X, 해결하려면 탄력적 IP 사용)
- EBS를 사용하는 인스턴스만 중지 가능 (인스턴스 저장 인스턴스는 중지 불가)
- 재부팅
- 인스턴스를 다시시작 하는 것
- 중지하고 다시시작과는 달리, 재부팅 시 퍼블릭IP 변동 X
- 최대 절전모드
- 메모리 내용을 보존해서 재시작시 중단지점에서 시작할 수 있는 정지모드
-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서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올려놓는 것
- 컴퓨터/노트북의 최대 절전 모드와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된다.
우리가 만일 프로그램을 이용하다 만일 프로그램이 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시 노트북을 꺼야한다면 최대절전을 한다. 그리고 다시 노트북을 켰을때 아예 OS 재부팅되는게 아니라, 프로그램이 이어서 돌아가게 된다.
3) shutting-down state
인스턴스 종료 중
설정에 따라 EBS도 같이 종료 시킬 수도 있고 EBS는 남기고 인스턴스만 종료 할 수 있다.
4) terminated state
완전히 종료, 인스턴스가 영구적으로 삭제 됨
EC2 상태별로 인스턴스 요금
요약 하자면, 인스턴스 미사용시 중지시켜두기만 해도 많은 비용 절감 할수 있다.
다만, 인스턴스를 stopped 해도, EBS나 탄력적 IP를 연결했을경우 별도로 청구되니 유의하자.
이를 이용해서 인스턴스 자동 정지/시작 기능을 이용해, 예를들어 9시에 aws 서비스를 탑재한 인스턴스를 시작하고 18시에 다시 중지 시켜놓는 식으로 효율적으로 구성할수도 있다.
# Reference
https://www.youtube.com/watch?v=PgByr2ZfrsE&list=PLfth0bK2MgIan-SzGpHIbfnCnjj583K2m&index=12
이 글이 좋으셨다면 구독 & 좋아요
여러분의 구독과 좋아요는
저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